eXERD는 데이터 베이스의 스키마 관리를 쉽게 할 수 있는 툴이다.
리버스 엔지니어링은 이미 존재하는 데이터 베이스에 연결해서 그 스키마 구조를 가져와서
한눈에 보기 쉽도록 맵으로 그려준다.
반대로 포워드 엔지니어링은, 설계 단계에서 완성한 데이터 베이스 구조를 실제 DB에 옮기는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DDL을 생성하는 작업을 도와준다.
이번에 관리하고 있는 DB에 새로 테이블을 추가할 일이 있어서 기존 DB를 eXERD로 가져왔다.
개발 작업 할 때 이렇게 관리를 해 놓으면, 나중에 운영 서버에 테이블 생성할 때 eXERD에서 DDL만 뽑아다가
쿼리를 돌려주기만 하면 되어서 관리가 쉽다.
또 협업할 때 수정한 사항을 바로 바로 반영해서 팀원들과 공유하기에 용이하다.
서두가 길었으니, 리버스 엔지니어링 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상단의 네비게이션 바에 보면 eXERD라는 카테고리가 있는데, 클릭해서 보면 2번째 탭에 리버스 엔지니어링이 있다.
그러면 아래 이미지처럼 연결할 DBMS의 정보를 입력하라고 나온다.
대상 DBMS에 내가 사용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종류를 선택하고,
(Oracle, MySQL, MariaDB 등등)
JDBC 드라이버를 선택해줘야 한다.
보통 개발 환경이 셋팅되어 있다면, 분명히 라이브러리 폴더 어딘가에 JDBC 라이브러리 파일이 있을 것이다.
내 경우는 MySQL을 사용하고 있어서, MySQL jar파일을 가져왔다.
그리고 호스트(IP), DB명, ID, PW를 입력해 주고 연결 테스트를 해본다.
연결 테스트에서 성공하면 잘 연결 된것이다. (obviously)
그리고 그 다음부터는 원하는 옵션을 선택해 주면 되고, 딱히 선호하는 옵션이 없다면 바로 완료 버튼으로 넘어가도 된다.
나는 그냥 기본 선택 되어있는 대로 뒀다.
완료된 화면은 생략하겠다.
'SOFTWARE >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Cursor AI에 대한 리뷰(지극히 개인적인 나의 생각) + 설치과정 (0) | 2024.12.20 |
---|---|
[PostgreSql] 날짜 연산하기 (0) | 2023.03.19 |
[javascript] 팝업창으로 POST 데이터 전송하기 (0) | 2023.03.15 |
[Eclipse] properties 파일 인코딩 설정 (0) | 2023.03.05 |
배치파일로 자바 실행 시키기 (0) | 2023.03.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