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rays>
.length 를 사용해서 길이를 알 수 있다.
.push() 메소드를 사용해서, 제일 마지막 자리에 array를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콤마를 사용해 multiple arguments 가능!
.pop() 메소드를 사용해서 가장 마지막 자리의 array를 지울 수 있다.
.shift() 메소드를 사용하면 가장 첫번째 자리의 array를 지운다.
.unshift() 메소드를 사용하면 가장 첫번째 자리에 array를 추가 할 수 있다.
.slice() 메소드를 사용하여 원하는 자리의 인덱스 부터 ~ 원하는 자리의 인덱스 까지 선택 할 수 있다.
하지만! 주의해야 할 점!
.slice(1,3) 이라고 하면 1,2자리의 인덱스만 의미함.
그래서 .slice( '원하는 인덱스', '원하는 인덱스+1') 로 적어야 함.
.slice()는 실제 array의 내용을 변형시키지 않는다!
.indexOf()를 사용하여 원하는 array가 몇번째 인덱스인지 확인 할 수 있다.
ex) .indexOf('arrayName');
function 안에서 이 메소드들을 사용한다 해도, function 밖에도 영향을 준다.
array 안에 array를 넣을 수 있다.
ex) const array = [[1], [2,3]]; //array 안에 array
여기서 2만 출력하고 싶으면, console.log(array[1][0]); 이라고 적으면 된다. //인덱스 1에 있는 인덱스 0
'SOFTWARE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map/reduce/forEach/findIndex (0) | 2021.01.10 |
---|---|
블록체인에 대해.. (0) | 2020.03.05 |
mail protocol 관련 용어 정리들! (0) | 2020.03.05 |
2020.02.18 - 용어 정리 (0) | 2020.02.18 |
[java script] modal에서 value 받아오기! (0) | 2020.02.09 |
댓글